1. 시추 특징과 성격
시추는 다른 견종에 비해 성격이 차분하고 느긋한 편입니다. 경계심도 적어 사람에게 친근하고 공격성이 거의 없어 가정에서 반려견으로 기르기 좋으며, 인기가 많습니다. 온순하고 느긋한 성격 탓에 조금은 게을러 보이고 지능이 높은 편은 아니지만 짖음이나 공격성이 없고 사교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어린아이들이 있거나 노약자들과 함께 지내기엔 매우 적합한 반려견입니다.
하지만 시추는 고집이 매우 세며 자신의 습성을 바꾸지 않으려고 하는 속성이 강해 훈련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시추는 활동량이 많은 편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먹성과 식탐이 많아 비만이 되기 쉬운 견종으로 사료를 급여할 때 권장 열량과 양을 잘 계산해서 급여하고 간식을 자주 급여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자율 급식보다는 제한 급식이 좋습니다. 식탐이 강한 특성을 이용하여 간식을 적절히 사용한다면 훈련에도 큰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시추는 다른 견종에 비해 유전적 질병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합니다. 코와 입이 납작하게 눌려있는 모양의 단두종은 콧구멍과 기관지가 좁은 편이기 때문에 호흡에 무리가 생길 수 있으므로 단두종 호흡기 폐쇄 증후군에 주의해야 하며, 호흡이 격해지지 않도록 무리한 놀이와 운동은 삼가야 합니다.
또한 시추의 튀어나올 것 같이 큰 눈은 안면 구조상 바깥쪽으로 살짝 돌출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얼굴 주변의 털이 눈을 찌르거나 각막에 상처가 나기 싶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취약하므로 눈 주변을 항상 깨끗하게 관리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유전적으로 백내장 밑 진행성 망막 위축증이라고 불리는 안구질환에 쉽게 걸릴 수 있으므로 주의 있게 관찰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또한 자기 배변을 먹는 행위를 일컫는 식분증의 대표적으로 언급되는 견종입니다. 식분증은 다른 견종들에게도 나타날 수 있지만 유독 시추에게 자주 발견된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사료와 간식을 충분히 공급하면 자연스럽게 식분증이 치료된다고 알려져 있지만 고집이 센 시추는 자신의 습성을 고치기 어려운 견종 중 하나로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식분증이 일어나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시추는 식탐과 겁이 많은 성격, 그리고 자존심이 센 성격으로 주인에 대한 복수심이 원인이라고 합니다.
한번 생긴 식분증은 고치기까지 많은 노력과 훈련이 필요하므로 식분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대변은 바로바로 치워주는 것이 좋습니다.
2시추 유래
시추는 중국에서 유래되었습니다. 17세기경 달라이 라마가 티베트의 "라사압소"라는 강아지를 중국 황실에 선물했는데 중국에서 "라사압소"와 "페키니즈"를 교배시켜 탄생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중국에서 사자와 흡사한 견종을 만들고 싶어서 교배를 했다는 이야기도 전해 내려옵니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사자개라는 뜻의 '사자구' 라고 불립니다.
중국에서 탄생한 시츄가 영국으로 넘어가면서 유럽에 전파되기 시작했고, 2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군인들이 미국으로 시추를 데려가게 되면서 미국과 캐나다에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3. 시추 생김새
시추의 생김새는 납작하고 뭉툭한 코와 큼직하고 튀어나올 것 같은 까만 눈이 특징입니다. 또한 미간이 넓고 털이 풍성하고 귀는 아래로 축 늘어뜨려 완전히 덮고 있기 때문에 귓병이 생기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신체 구조상 코가 짧아 코를 잘 고는 견종입니다.
시추의 키는 약 22cm ~ 27cm 정도로 체중은 5kg ~ 7kg 정도 되는 소형견에 속합니다.
또한 다른 견종과 다르게 시추는 딱 정해진 털색이 없습니다. 국내에서는 흰색에 갈색 무늬가 있는 시추가 많은 편이지만 흰색에 검은 무늬 또는 완전히 검은색이거나 흰 색인 시추도 있다고 합니다.
장모종이긴 하지만 같은 장모종인 포메라니안, 스피츠, 치와와가 비교하면 털이 잘 안 빠지는 편입니다. 하지만 털이 직모이고 가늘고 길기 때문에 엉키지 않도록 규칙적인 빗질을 해주어야 합니다. 시추가 태어난 지 약 3개월쯤 얼굴 주위에 자라나는 털이 국화처럼 피어난다고 해서 국화 개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강아지 백과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들링턴 테리어 생김새와 역사, 특징에 대해 (0) | 2022.10.26 |
---|---|
강아지 치매증상과 예방 방법에 대해 (0) | 2022.10.23 |
스피츠 강아지 특징과 성격에 대해 (0) | 2022.10.22 |